게시판(2177)
-
- 노사간 신뢰조성이 선결돼야 !!
- 2006-03-31|안환선
- 고용 유연·안정성 동시 추구 덴마크식 노동정책 가능할까 ? 덴마크 노사 모델은 한국에 적용 가능한 것일까. 최근 청와대가 앞으로 노동정책에 덴마크 모델의 정신을 반영하기로 검토함에 따라 우리나라에 적합한지를 두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덴마크 모델의 핵심은 유연안정성(flexicurity)이다. 해고를 쉽게 하되 재고용을 보장하는 것으로 노동시장의 유연성(flexibility)과 안정성(security)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이다. 청와대는 이를 바탕으로 경직된 대기업 정규직의 노동시장은 해고가 좀 더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높이고, 언
-
- 노조 주최행사 부상은 산재 아니다
- 2006-09-28|권만종
- "노조 주최행사 부상은 산재 아니다" [매일경제신문] 2006-09-28 06:27 소속 기관이 아닌 노동조합이 주관하는 체육행사에서 다쳤다면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서울행정법원 성수제 판사는 전공노 지부 주관 족구대회에 참가했다 다친 정 모씨가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을 상대로 낸 공무상 요양불승인 처 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습니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족구대회의 주된 목적이 조합원간 화합과 단결 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며 원고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
- 아주 좋은 글 입니다
- 2006-01-04|유인석
- 신영수 지부장님 댁에도 건강과 행복이 항상 함께하시고뜻하시는 바 모든 일들이 이루어 지시길 기원합니다
-
- 산업안전.보건.보상
- 2006-03-31|조문석
- - 한번보시고 참고하십시요 - - 산업안전.보건.보상안전보건법.zip
-
- 모두가 함께 ......
- 2006-10-02|신영수
- 안녕하십니까?지난 7월22일 KT그룹노조 전진대회를 시작으로`06년 임,단협 공동투쟁의 승리를 위하여지난주 9월29일 찬,반투표에 이르기까지조합원 동지들의 깊은관심과 협조속에 수고들 많이하셨습니다.이제부터 또 다시 시작이라는 새로운 각오로조합원의 권익신장을 위하여 보다 더 많은 노력으로 다가가 모두가 함께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풍요로운 결실의 계절 가을의 문턱에서고향 부모님의 따뜻하고 넉넉하신 마음처럼웃음 풍년으로 한가위 맞이하시기 바라며,안전운전과 함께 즐거운 시간 되십시요.아울러 환절기에 건강도 유의하십시요. 동광주
-
- 고맙습니다.
- 2006-01-05|신영수
- 고맙습니다. 새로운 각오로 새롭게 출발하는 제9대! "너와 내가 아닌 우리라"는 한 틀속에서 항상 함께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 ILO, “5급 이상 공무원 단결권 보장, 정부 개입 중단” 요구
- 2006-03-31|윤영채
- 29일 ILO가 채택한 권고문에서는 한국의 공무원노동자들의 ‘완전한 권리보장’과 이를 위한 한국 정부의 추가 조치를 요구했다. 권고문은 전국공무원노조 건설 관련 해고자의 이름까지 거명하며 문제점과 요구안을 자세히 다루었다.권 고문은 공무원노조와 관련해 △5급 이상 공무원 단결권 보장 △소방관 노조 결성 및 가입권 보장 △공권력을 행사하는 공무원과 엄격한 의미에서의 필수사업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파업권에 대한 모든 제약 제한 △전공련 관계자 12명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깊은 유감 표명 및 해고 건에 대한 재검토와 조사 요청 △김영
-
- 함께 할 수 있도록 . . .
- 2006-10-08|신영수
- 안녕하십니까?풍성하고 즐거운 추석 명절 맞이하셨는지요?추석의 연휴기간동안 재 충전의 좋은 기회로 삼고조합원에게 더욱더 가까히 다가가 함께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마음으로 새롭게 다시 시작하도록 합시다.환절기에 건강 유의하십시요.
-
- 건강상식(뇌출혈이란?)
- 2006-01-10|안환선
- 뇌출혈(腦出血 , cerebral hemorrhage)이란?▣ 뇌출혈의 문헌고찰 -> 뇌졸중의 심각성은 나라마다 약간씩 다르다. 한국에서 남자의 제1위 사망원인은 암(위암, 간암, 폐암 등과 같은 모든 암을 합한 경우)이지만, 단일 질환으로서 남녀를 막론하고 제1위의 사망원인은 뇌졸중이다. (사망률(mortality rate)이란 인구 10만 명당 뇌졸중으로 사망한 사람이 몇 명인가를 보는 것). 한국에서 뇌졸중의 발병률을 정확히 조사한 적이 없다. 단지 여러 나라에서 발표한 통계의 평균치를 보면 인구 1,000 명당 1년에 뇌졸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