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은 원격 전이가 된 뒤에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3%에 그치지만 조기에 진단되면 약 50%로, 절반은 완치(5년 생존율 기준)가 가능하다. 간암에 대한 조기 발견, 즉 국가적인 간암 감시 검사시스템의 강화가 필요한 이유다.
통계청이 지난달 23일 발표한 ‘2014년 국민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간암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10만명당 22.8명으로 폐암(34.4명)에 이어 2위였다. 30년 전 10만명당 16.2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일반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10만명당 13.1명으로, 간암과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합치면 폐암 사망을 능가한다. 왕성한 생산활동 연령대인 40대와 50대에서는 간암 사망이 압도적 1위이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 교수가 외래진료실에서 간암의 위험성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국내에서 간암은 약 70%가 B형간염과 연관해 발생한다. 여러 가지 항바이러스제가 도입되면서 간경변증(간경화)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 추세지만 B형간염 바이러스를 가진 간질환자들의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간암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이 늘어나고 있다.
대한간암학회는 “간암과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항바이러스 치료로 간경변증과 그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키고, 무엇보다 간암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암학회에 따르면 국가에서 제공하는 간암 검진에 사용되는 간초음파 검사와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는 민감도가 상당히 낮다. 임영석 간암등록사업위원장(서울아산병원)은 “CT 혹은 MRI와 같이 더 높은 민감도를 가진 검사를 도입하고, 국가 암검진에서 시행하는 간암 감시 검사의 주기를 6개월로 단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간암은 2003년부터 국가 암검진 사업 대상에 포함됐다. 만 40세 이상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1년마다 간초음파 검사 및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고위험군이란 간경변증, B형간염 항원 양성, C형간염 항체 양성,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간질환자 등을 말한다. 하지만 간암 조기 검진 수검률은 33.6%(2013년 기준)에 불과하다. 이는 위암의 73.6%, 대장암의 55.6%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간암학회 엄순호 회장(고려대 안암병원)은 “간암 감시 검진이 필요한 고위험군 선별을 위해 생애전환기 검사(만 40세, 만 66세 시행)에 C형간염 항체 검사 및 혈소판 검사를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효순 기자 anytoc@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