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신청하기

이 블로그 친구 신청을 하시겠습니까?

게시판

kt사장관련사항

게시일
2005-06-17
[오마이뉴스 이승훈 기자]

▲ KT 분당 본사 사옥

ⓒ2005 오마이뉴스 자료사진
국내 최대 유선 통신업체 KT의 새 사장 공모에 통신업계는 물론 시민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통신업계에서는 남중수 KTF 사장의 '대권' 도전 성공 여부가 주요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반면 시민사회에서는 특정 인맥의 통신업계 지배에 대한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KT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만큼 그에 걸맞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춘 인물이 새 사장이 돼야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반전의 연속, KT 신임 사장 공모전


KT 민영화 2기를 이끌어갈 신임 사장 공모전은 극적 반전의 연속이다. 그동안 공모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았던 남중수 KTF 사장이 15일 저녁 뒤늦게 출사표를 던졌다. 이용경 현 사장과 남 사장간 '집안 싸움'이 이번 공모전의 관전 포인트가 되는가 싶었지만 16일 오전 이 사장이 공모신청을 전격 철회하고 용퇴를 결정함에 따라 판도 변화가 불가피해 졌다.


업계에서는 이 사장의 용퇴로 차기 사장 후보로는 남 사장에게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이 나오고 있다.


물론 현재 공모에 응한 후보군은 최안용 전 KT 전무, 김홍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사무총장, 정선종 전 ETRI 원장 등 6명에 이르고 헤드헌터사를 통한 외부추천에 응할 것으로 보이는 정관계 인사들까지 합하면 줄잡아 10여명이 차기 사장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어 변수는 여전하다.


그러나 남 사장에 비하면 다른 후보들은 상대적으로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2003년 KT 재무실장을 끝으로 KTF로 자리를 옮긴 남 사장은 20년 동안 KT에 몸담으면서 주요 요직을 두루거친 전형적인 KT맨이다. KT를 누구보다 잘 알고 회사의 장기 비전과 성장전략의 연속성을 이어갈 인물로 꼽힌다. 이 때문에 공모 시작 전부터 남 사장의 참여 여부는 최대 변수로 꼽혀왔다.


특히 남 사장이 공모 참여 의사를 밝히자 이용경 사장이 공모를 철회한 것은 결과적으로 남 사장에게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가 됐다. 두 사람은 경기고, 서울대 10년 선후배 관계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른 한쪽에서는 이번 공모참여 포기와 전격 참여선언이 이 사장과 남 사장간 갈등 때문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특정인맥의 경영체제 독식, 무늬만 전문경영체제?


시민사회에서는 알맹이 빠진 이번 사장 공모전에 우려를 보내고 있다. 국가기간통신사업자로서 국민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KT 차기 수장의 경영능력과 경영철학에 대한 검증이 베일 속에 싸여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13일 대안연대회의, 투기자본센터 등 11개 시민사회단체 주최로 열린 한 토론회에서는 KT 민영화 이후 급격히 벌어지고 있는 공공성, 사회책임 경영, 소비자 권리 보호의 후퇴를 막기 위해서는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개입과 감시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힘이 실렸다.


조원희 국민대 교수(경제학부)는 이날 주제발표를 통해 "KT 민영화 이후 시내전화 가격 담합, 전화 불통 사태, 개인정보 침해(소디스 사업),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등 소비자 권익을 해치는 반공익적 행위가 반복되면서 공공성 후퇴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며 "이는 주주이익만 중시하는 단기 수익 중심의 경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특정 인맥의 경영권 독식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KT 노조 부위원장 출신인 이해관 대안연대회의 정책위원은 "민영화 이후 지분 소유구조가 분산되고 외국인 주주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전문경영인 체제가 들어섰지만 오히려 특정인맥 중심의 경영체제가 더욱 고착화됐다"며 "이는 광범위한 전문가 영입과는 거리가 먼 무늬만 전문경영인 체제"라고 비판했다.


시민사회가 내놓은 대안은 KT에 대한 공적 견제장치 마련과 적극적인 감시활동이다. 민간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뽑는 일에 시민사회가 개입하는 것에 대해 '생뚱맞다'는 비판이 있지만 이들 단체들은 "KT의 시장 지배적 지위 때문에 시장메커니즘을 통한 통제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으며 지분구조도 정부지분은 0%, 외국인 지분은 49%로 공공부분의 견제 또한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면서 "KT의 사회책임 경영을 위해서는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감시와 견제가 필수적"이라고 반박했다.


KT 앞에 흔히 붙은 '통신 공룡'이라는 수식어에서 볼 수 있듯이 KT는 시내전화 사업과 초고속인터넷 사업에서의 시장 지배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차세대 통신서비스 투자에서도 주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어서 합리적인 공적 견제 장치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조원희 교수는 "KT에 대한 시장 통제가 안되는 상황에서 전체 지분의 26%에 이르는 KT 자사주에 대한 정부의 공적 소유나 국민연금 등을 활용한 매입을 통해 정부나 시민사회가 공공적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정통부 "KT 공기업 성격 강해 정부가 지분 보유 필요 있어"


정부에서도 이러한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은 15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KT는 공기업적 성격이 강한만큼 외국 사례를 참고해 일정 지분을 정부가 매입해 보유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진 장관의 이러한 발언은 KT 민영화 성과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이 짙어 향후 정부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처럼 KT 차기 수장 선출은 민영화 1기 KT 경영의 공공성 후퇴에 대한 비판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치러지고 있다. 이에 시민사회는 차기 KT 사장은 주주 눈치 보기에 급급해 단기 수익에 연연하기보다 소비자 권익 보호 등 사회적 책임 경영 의식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기업가치를 추구할 줄 아는 인물이 돼야한다는 주문을 내놓고 있다.


때문에 2기 민영 KT의 수장이 누가 되든 민영기업으로서의 수익추구와 국민들이 요구하는 공공성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는 과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이승훈 기자

- ⓒ 2005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 등록 폼